[Conflux] 격주 진행 보고서 : 2020년 11월 19일
기술 개발
- Conflux-rust를 v1.0.3으로 업그레이드하고 두 가지 RPC 방법을 추가하고 안정성을 개선했습니다.
- JS-SDK v1.1.2 출시, 새로운 RPC 지원, 더 많은 문서를 추가하였습니다.
생태계
- ShuttleFlow에 15 개의 새로운 ERC20 토큰이 추가되었습니다.
- 런타임에 크로스 체인 토큰의 인출 수수료를 변경되었습니다.
- MatchFlow의 버그를 수정했습니다.
Global Office
파운더 Fan Long은 Conflux의 시작, 메인 넷 출시, 중국에서의 규정 준수, Conflux를 Layer 2 솔루션으로 확장하고 Open DeFi의 회원이되는 것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Decrypt와 인터뷰를했습니다.
여기에서 인터뷰를 확인하세요.
Fan Long은 Charlie Shrem과 함께 그의 팟 캐스트 'Untold Stories'를 통해 중국에서 블록 체인 회사를 운영하는 것과 암호 화폐 분야의 정부 규제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여기서 팟 캐스트를 들어보세요.
https://blockworksgroup.io/untold-stories-podcast/fan-long
Fan Long: The Problem with PoS, Conflux and the Chinese Crypto Environment
Conflux Network는 칠레와 아르헨티나의 엠베세더와 함께 스페인어 텔레 그램 커뮤니티를 공식적으로 시작했습니다.
여기에서 공식 Conflux Spanish Telegram 커뮤니티에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 활동
Conflux Network는 Hillrise Capital이 주최하는 온라인 Telegram AMA 세션에 초대되었습니다.
여기에서 AMA의 하이라이트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hillrise.capital/ama-highlights-conflux-network/
- Conflux의 공동 설립자 Zhang Yuanjie와 마케팅 관리자 Cike가 F2Pool 라이브 스트리밍 쇼에 초대되었습니다. 그들은 Conflux 네트워크를 소개하고 청중과 채굴 지식을 공유했습니다.
- Conflux UMA EDU 이니셔티브 — Dubhe가 종료됩니다. 2 라운드 프로젝트 발표 후 현재 15 개 팀 사이에서 최고의 팀이 선정됩니다.
- Conflux Africa는 Telegram에서 AMAlovers 그룹이 주최하는 온라인 AMA 세션에 초대되었습니다.
- 미디어 매니저 Li Ruihan이 jinse.com의 라이브 스트리밍 쇼에 초대되었습니다.
오프라인 활동
Co-founder Zhang Yuanjie는 ChainNews에서 "퍼블릭 블록체인 부터 생태계 건설에 이르기 까지 : 콘플럭스는 어떤 일들을 행하였나?" 라는 주제로 인터뷰를 했습니다.
여기에서 인터뷰를 읽으실 수 있습니다.(중국어)
https://www.chainnews.com/articles/681761585805.htm
커뮤니티 제품
ConfluxScan v2.0.0이 출시되었습니다.
ConfluxPortal v0.5.8이 출시되었습니다. 수정 사항: multiply 1drip with 1.1; fix (nonce-tracker) : 주소로 tx를 필터링하지 못하는 현상
[공식 채널]
1. 공식 홈페이지 : https://confluxnetwork.org/
2. 콘플럭스 디파이 : http://defi.confluxnetwork.org/
3. 콘플럭스 마이닝 : https://mining.confluxnetwork.org/
4. 콘플럭스 스캔 : http://www.confluxscan.io/
5. 트위터 : https://twitter.com/Conflux_Network
6. 깃허브 : https://github.com/conflux-chain
7. 미디움 : https://medium.com/@ConfluxNetwork
8. 영어 텔레그램 : https://t.me/Conflux_English
9. 한글 텔레그램 : https://t.me/ConfluxKorea
10. 네이버 공식 블로그 : https://blog.naver.com/conflux-chain
11. 콘플럭스 오픈채팅 : https://open.kakao.com/o/gmyEjl2b
-
▣ Conflux Grants Program은 Conflux Network를 구축하기 위해 커뮤니티에 24억 이상의 CFX를 제공하는 지원 프로그램 입니다. 콘플럭스는 Grants Program의 자금과 지원을 통해, 전 세계 경제와 지역사회를 연결하는 혁신을 지원하고, 공정하고 포괄적인 미래를 구축하는 것이 목적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현재 콘플럭스를 기반으로 하고 있는 몇몇 놀라운 Grants Program 수령자들이 있습니다. 이 몇몇 프로젝트들은 모두에게 영감을 줄 야심찬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몇 프로젝트의 진척 상황을 말씀드리겠습니다. 1. Reach project 리치(Reach)는 간단하고 빠른 활성화 도구를 통해 블록체인의 실제 개발이 가능한 새로운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DApp은 몇 개월이 아니라 며칠 만에 쉽게 구축됩니다. 이 팀은 커뮤니티 구성원을 위한 튜토리얼을 개발하고 워크숍을 운영하여 기존 및 잠재 웹3 개발자에게 리치(Reach)를 사용하여 다음 DApp을 구축하는 방법을 알려줍니다. 2. Bitquery 비트쿼리(Bitquery)는 다양한 데이터 수직을 지원하는 Conflux 온 체인 데이터의 API를 제공한다. 팀은 완전한 GraphQL 기능을 갖춘 Conflux 탐색기와 GraphQL API를 완성했다. 온체인 데이터 기능 세트에 시장 데이터 추가, 유연성을 높이기 위한 그래프QL의 API 기능 확대, 생태계로의 자산 유입과 유출을 보여주는 산키 그래프 도입 등 통합에도 일부 기능이 추가됐다. 더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 비트쿼리는 지난 몇 달 동안 Conflux의 성능에 대한 몇 가지 훌륭한 데이터와 함께 두 개의 기사를 게재했다. Bitquery는 현재 커뮤니티로부터 피드백을 수집하고 있습니다. 3. Certik — DeepSEA DeepSEA by Certik은 검증된 스마트 계약서를 작성하고 보안하는 언어입니다. DeepSEA는 이더리움, 하이퍼레저, Conflux와 같은 다양한 스마트 계약 플랫폼을 위한 버그 프리 프로그램 컴파일러를 제공하는 크로스 플랫폼 및 신뢰할 수 있는 스마트 계약 프레임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더 DeepSEA팀은 개발 로드맵의 1단계를 완료하고 Deep을 포팅했습니다.SEA 컴파일러를 Conflux로 변환합니다. 또한 Conflux의 VM에 고유한 바이트 코드 기능을 수용하도록 개선했습니다. 4. Decentology — DappStarter DAppStarter by Denticology는 블록 체인을 위한 풀 스택 개발 환경을 제공하는 SaaS 플랫폼을 제공하며, 통합된 프런트 엔드 경험을 통해 여러 블록 체인과 언어를 지원합니다. 이제 Conflux Beta를 통해 Dappstarter는 Conflux에서 DApp을 구축하는 데 관심이 있는 신규 개발자들에게 많은 초기 어려움을 없앱니다. DappStarter를 사용하면 Conflux에서 15분 이내에 맞춤형 DApp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베타 테스터 커뮤니티의 피드백은 긍정적이었으며 NFT 작곡가도 포함될 이 놀라운 앱과 완벽하게 통합될 수 있게 되어 기쁩니다! 자세한 내용을 보거나 향후 테스트를 위해 베타 테스터 커뮤니티에 참여하려면 디스코드에 참여하십시오. 5. Simpli DeFi 심플리 디파이(Simpli DeFi)는 디파이를 위한 로보 어드바이저이자 집적 플랫폼으로, 여유 자금이 있고 투자할 시간과 지식이 없는 일반 암호화폐 보유자를 위한 투자 절차를 간소화했다. 이 프로젝트는 문덱스, 문스왑과 같은 새로운 Conflux 기반 플랫폼과 다른 플랫폼에 걸쳐 보다 확립된 프로젝트와의 연결을 검토할 것이다. Simply DeFi는 또한 사용자의 위험 선호도에 맞춰 위험 모델링을 기반으로 한 여러 표준화된 암호화폐 모델 포트폴리오를 제공할 것이다. 이 팀은 프런트 엔드 구축을 완료했으며, 커뮤니티 구축을 위한 거래 전략을 다시 테스트하고 있습니다. 이제 시작에 불과합니다. 더 많은 흥미로운 보조금 업데이트와 새로운 보조금 발표가 곧 있을 예정입니다. 조금 더 자세한 정보가 궁금하신 분은 아래 홈페이지 및 소셜 커뮤니티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Conflux 공식 홈페이지 https://confluxnetwork.org/ ▣ Conflux 커뮤니티 카카오톡 공식 오픈 채널 : https://open.kakao.com/o/gmyEjl2b 한글 텔레그램 : https://t.me/ConfluxKorea 영어 텔레그램 : https://t.me/Conflux_English 트위터 : https://twitter.com/ConfluxChain 콘플럭스 스캔 : https://www.confluxscan.io/ 콘플럭스 Defi : https://defi.confluxnetwork.org/en/ 깃허브 : https://github.com/conflux-chain 미디움 : https://medium.com/@Confluxnetwork 네이버 공식 블로그 https://blog.naver.com/conflux-chain 바운티 사이트 : https://bounty.conflux-chain.org/
-
슈프림 파이낸스는 ? 완전히 통합 된 사용자 친화적 인 플랫폼 / 서비스를 만들고 이미 시장에 나와있는 많은 분산 형 금융 상품 및 서비스와 많은 암호 화폐를 연결하려는 채택 중심의 DeFi 프로토콜로 DeFi를 간단하면서도 사용하기 쉽게 만들어서 학습 곡선에 겁을 먹은 사람들을 위해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만들어 진입 장벽을 낮추는 것이 목표입니다. 슈프림파이낸스는 사용자들이 조금 더 쉽게 DEFI 플랫폼을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들을 앱에 탑재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코인베네 하이프 : https://www.coinbene.com/spot/exchange/HYPE_USDT
-
총 유통되는 100억개 얼랏중 90억개를 소각하고 10억개만 유통 얼랏 가치를상승 메이져 코인으로 가즈아~~ ALLOT은 가치를 높이기 위해 발행량의 90 %를 소각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코인을 90%소각 시키면 100억개중 90억개를 없앤다는 의미 20년 12월 17일 프로비트코리아에 최초 상장 한 얼랏(ALLOT)프로비트 거래소에서 거래량 1위를 달리고 다른 코인과 비교해도 말도 안되게 상승을 보입니다. ALLOT은 기존 금융서비스 시스템의 근본적인 비효율성을 개선하고 사용자에게 지능적인 포트폴리오를 추천하여 최상의 수익률을 전하고자한다. 완존 미춰버린 얼랏차트 기가막힙니다 ALLOT(ALT) 홈페이지 : http://al-lot.com/ ALLOT(ALT) 백서 : http://al-lot.com/theme/basic/wp/ALLOT-en.pdf ALLOT(ALT) 거래소 : https://www.probit.kr/r/83716365 ALLOT 텔레그램 공지방 : https://t.me/allot_group_info ALLOT 텔레그램 대화방 : https://t.me/allot_group ALLOT은 기존 디파이 시스템을 업그레이드 하기로 하고 첫번째 플랫폼으로 전통적인 은행서비스와 유사한 이자 예금 및 이익 창출이라는 기능이 있다. 이 서비스를 통하여 사용자는 암호화폐 자산을 상대적으로 안전하게 입금하고 수익을 얻을수 있으며 세계 누구라도 이용할수 있는 효율성 높은 디파이 금융상품이다. 과거 금융서비스 플랫폼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브랜드의 인지도, 수익률 변경, 보안 등 여러가지 요소를 고려하여 반복적인 비교를 해왔다. 또한 대부분 이성적인 사용자는 동시에 여러 플랫폼에 암호화폐를 보관하여 리스크를 줄이고자 했다. ALLOT 플랫폼은 사용자에게 지능적인 포트폴리오를 추천할수 있도록 도와주며 디파이영역에서 진정한 지능형 투자자문 및 관리 플랫폼을 구축한다. 1100만원 상당 얼랏(ALT) 3차 에어드랍 이벤트 03/31 얼랏 90%(90억개) 소각 을 기념하여 얼랏 3차 이벤트를 진행합니다 : [참여기간] 02/22(월) ~ 03/01(월) [참여방법] 1. 얼랏(ALT) 공식 텔레그램 입장 https://t.me/allot_group 2. 프로비트 거래소의 얼랏(ALT)에 대한 자유로운 포스팅 작성. https://www.probit.kr/app/exchange/ALT-KRW 네이버 블로그 필수 + (택1 : 암호화폐커뮤니티 or SNS 채널) 3. 구글폼 제출 http://bit.ly/ALLOT_EVENT_3 [참여보상] Top 1 : 300만원 상당의 ALT 토큰 (추첨_1명) Top 2 : 100만원 상당의 ALT 토큰 (추첨_2명) Top 3 : 50만원 상당의 ALT 토큰 (추첨_4명) Top 4 : 20만원 상당의 ALT 토큰 (추첨_10명) Top 5 : 10만원 상당의 ALT 토큰 (추첨_20명) 얼랏(ALT)는 어떤 프로젝트 이해하기 오늘날 금융 서비스는 중요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매우 높은 비용으로 많은 핀 테크 개발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은 근본적인 문제가 지속됩니다. 높은 거래 비용. 규제 요구 사항, 복잡한 상호 운용성 문제가 있는 레거시 시스템 및 대규모 기관의 제어로 인해 은행 및 금융 서비스의 평균 사용자에게는 거래 수수료가 높습니다. 중개인이 필요한 서비스는 에이전트 및 기타 유형의 중개인이 관여하기 때문에 훨씬 더 비쌉니다. 특히 국제 거래의 경우 느린 거래. 이론적으로는 컴퓨터가 거래하는 데 몇 분 밖에 걸리지 않지만 한 기관에서 다른 기관으로 돈을 옮기는 데는 한 국가 내에서 몇 시간이 걸리고 국가 간에는 며칠이 걸릴 수 있습니다. 자금 세탁 및 관련 범죄를 줄이기 위한 법률에도 불구하고 현재 시스템이나 AML이 실제로 자금 세탁을 줄인다는 증거는 거의 없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많은 투자자들이 투자의 일부를 암호 화폐로 옮기기 시작했습니다. 암호 화폐는 정의상 기존 시스템이 제공할 수 없는 완전한 투명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필요한 행정 및 관료의 양이 최소화됩니다. 얼랏 프로젝트를 통해서 문제점을 해결하고 금융을 발전시키다 ALLOT은 기존 디파이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하기로 하고 첫 번째 플랫폼으로 전통적인 은행 서비스와 유사한 이자 예금 및 이익 창출이라는 기능이 있다. 이 서비스를 통하여 사용자는 암호화폐 자산을 상대적으로 안전하게 입금하고 수익을 얻을 수 있으며 세계 누구라도 이용할 수 있는 효율성 높은 디파이 금융상품이다. 과거 금융 서비스 플랫폼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브랜드의 인지도, 수익률 변경, 보안 등 여러 가지 요소를 고려하여 반복적인 비교를 해왔다. 또한 대부분 이성적인 사용자는 동시에 여러 플랫폼에 암호화폐를 보관하여 리스크를 줄이고자 했다. ALLOT 플랫폼은 사용자에게 지능적인 포트폴리오를 추천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디파이 영역에서 진정한 지능형 투자자문 및 관리 플랫폼을 구축한다. 탈 중앙성 탈 중앙성은 안전성에서도 중요하게 작용을 하는데 중앙 주체의 테이터 베이스가 아닌 세계 각국의 노드에 의해 시스템이 운영하기에 해킹이나 시스템 셧다운이라는 위험에서 안전할 수 있다. 무허가성 금융 서비스 시스템에 누구나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환경을 의미하는 게 무허가성이라고 지칭한다. 현 금융 서비스 시스템은 매우 폐쇄적으로 일부 금융상품을 가입하기 위해서는 특정한 자격요건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전 세계적으로 약 17억 명의 성인 남녀가 은행 계좌를 가지고 있지 않다고 한다. 이는 전 세계 인구의 20%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투명성 및 검열 저항성 디파이 시스템에서는 모든 거래의 내역이 블록체인상에 공개가 되며 저장이 되지만 그 거래의 내역이 누구의 거래인지 알 수가 없도록 되어있다. 거래의 투명성이 보장이 되며 특정한 사용자에 의해 운영이 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 모두가 시스템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개인의 완전한 자산 소유권을 보장할 수 있다. 효율성 현 금융권에서 국가 간 송금의 수수료는 약 5% 이상을 부과하지만 디파이 시스템에서는 1~2% 미만의 낮은 수수료가 책정이 된다. 전송 속도 측면에서도 디파이 시스템은 탁월한 효율성을 가지고 있다. 예로 은행을 통한 국가 간 송금은 1~2일 정도 소요가 되지만 디 파이 시스템에서는 보통의 경우 10분 이내 모든 거래가 종료된다. 언제 어디서나 자유롭고 간편하게 금융 서비스를 할 수가 있다. 개인 정보보호 디파이 시스템에서는 원하는 수준의 개인 정보를 원하는 상대방에게 선택적으로 공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오늘날 개인 정보의 수준은 단순 프라이버시 차원에서 생각할 문제를 넘어섰다. 세계 데이터 시장은 약 250조 원 규모로 성장을 했으며 개인 정보의 상품화는 꾸준히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얼랏(ALT) 투명하게 운영되는 재단 Development - 40% ALLOT 팀은 모집한 자금의 플랫폼 개발 및 유지 보수, 제작, 개발팀과 디자인팀의 인건비로 사용 예정이다. Platform Operating Costs - 30% 플랫폼의 성패는 성공적인 플랫폼 개발뿐만이 아닌 최상의 플랫폼 운영으로 완성이 된다. ALLOT 팀은 원활하고 쾌적한 운영을 위하여 운영팀과 서비스팀을 위해 사용할 예정이다. 플랫폼의 이율 지급이 신속히 처리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다. Marketing expenses - 20% ALLOT을 전 세계적으로 알리기 위한 홍보, 마케팅 그리고 파트너 재단 및 회사와의 제휴 활동을 위하여 사용할 예정이다. Administrative expenses - 10% ALLOT 재단을 윤리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법률의 준수, 잡세의 의무, 회사 경영상황의 투명한 공개를 필요로 한다. 이에 ALLOT은 법무, 세무, 회계 등의 업무를 행정비용으로 책정하여 사용할 예정이다. [글로벌에픽 나영선 기자] 시장에는 지금 수많은 디파이 프로젝트들이 연이 쏟아져 나오다시피 하고 있다. 디파이는 무엇보다도 유동성을 뒷받침해줄 LP풀이 가장 중요한데 이에 대한 대안은 시장 열기에 비해 뾰족한 대안이 강구되고 있지 않다. 그 중 얼랏(ALLOT)은 기존 금융서비스 시스템의 근본적인 비효율성을 개선하고 사용자에게 지능적이고 전략적인 포트폴리오를 큐레이션 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았다. 이는 사용자 주권을 지켜주고 자산 관리를 보조한다. ALLOT 플랫폼에서의 디파이 상품은 시스템이 직접 포트폴리오를 제안하고 사용자의 성향과 투자 손익을 최우선시 한다. 또한, 디파이 서비스 상품 중 은행서비스와 가장 유사한 이자 시스템을 접목함으로써 패시브 인컴 시스템을 마련했다. 얼랏은 이밖에도 많은 유틸리티 시스템 개발이 예정되어있다. 플랫폼 개발과 더불어 본격적인 ALT 토큰 유통을 위해 국내 4위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프로비트와 상장을 단행했다. 얼랏의 ALT는 작년 12월 17일에 상장되었으며 현재까지 지속적인 거래량과 유동성을 보여주고 있다. 프로비트 거래소는 최근들어 여러 호재가 발생하면서 신규 유저가 대폭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이에 프로비트의 도현수 대표는 다음과 같은 말을 남겼다. "프로비트는 가장 빠르게 성장한 거래소로, 2년만에 500개 이상의 코인을 상장하였고 80만명 이상의 액티브유저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최근엔 코인게코 트러스트 스코어로 국내 2위, 거래량 기준 국내 3위에 올랐습니다.”
-
"ALLOT 는 사용자의 니즈에 최적화된 상품으로 포트플리오를 구성 추전하는 시스템으로 사용자의 투자금융을 최대한 보호하면서 최대한의 보상을 추구하는 것을 목표라 한다. " The ALLOT platform builds a true intelligent investment advisory and management platform in the DPI area. ALLOT (ALT) 현재 프로비트코리아에 원화로 상장 되어 있읍니다 프로비트코리아에서 확인해 보세요~~~ https://www.probit.kr/r/26739194 프로비트에서 적극적으로 도와주고 있는 얼랏(ALT) http://m.globaledunews.co.kr/view.php?ud=2021010814562465856cf2d78c68_29 최신뉴스 얼랏(ALT) 21년 3월 31일 발행량 90% 소각 확정 총발행량 100억개에서 90% 소각 상장일 2020년 12월 17일 1차 소개 2021년 01월 14일 3,037.50원 2차 소개 2021년 01월 20일 3.861.00원 3차 소개 2021년 02월 23일 15,256.00원 오늘입니다 2차 소개후 34일만에 1ALT당 11,395원 수익 발생 하루도 안쉬고 상승하네요~~~ 90% 소각후 어덯게 될지는 상상에 맡기겠습니다 ALT는 이시간에도 상승하네요~~~~~ Web ▶️ http://al-lot.com/ Channel ▶️ https://t.me/allot_group_info Group ▶️ https://t.me/allot_group 얼랏(ALT) 공식 텔레그램 ▶️ https://t.me/allot_group
-
⭐️ 1100만원 상당 얼랏(ALT) 3차 에어드랍 이벤트 🌟 🎉 03/31 얼랏 90%(90억개) 소각 을 기념하여 얼랏 3차 이벤트를 진행합니다 :) 🎉 [참여기간] 02/22(월) ~ 03/01(월) [참여방법] 1. 얼랏(ALT) 공식 텔레그램 입장 ▶️ https://t.me/allot_group 2. 프로비트 거래소의 얼랏(ALT)에 대한 자유로운 포스팅 작성. https://www.probit.kr/app/exchange/ALT-KRW 네이버 블로그 필수 + (택1 : 암호화폐커뮤니티 or SNS 채널) 3. 구글폼 제출 ▶️ http://bit.ly/ALLOT_EVENT_3 [참여보상] Top 1 : 300만원 상당의 ALT 토큰 (추첨_1명) Top 2 : 100만원 상당의 ALT 토큰 (추첨_2명) Top 3 : 50만원 상당의 ALT 토큰 (추첨_4명) Top 4 : 20만원 상당의 ALT 토큰 (추첨_10명) Top 5 : 10만원 상당의 ALT 토큰 (추첨_20명) [지급일정] 이벤트 종료 후 1주 이내 ====================================== ⭐️ 얼랏(ALT) 공유 이벤트 🌟 [참여기간] 02/22(월) [참여방법] 1. 본 게시물을 아래 커뮤니티에 홍보 합니다. 블로그필수 + 포스트/스팀잇/각종암호화폐커뮤니티/인스타/트위터 (밴드,카페,텔레그램 홍보는 인정되지 않습니다. / 1개커뮤니티당 1회만 적용됩니다.) 2. 홍보하신 URL주소 + 트론 주소를 댓글에 기입합니다. 댓글남기기 : https://cafe.naver.com/worldchangingbitcoin/145334 [참여보상] 1회 포스터 홍보시 : 중수기준 4 TRX 에어드랍 (1인 최대 10회 홍보 = 40 TRX 에어드랍) 고수등급 회원 기본 5 TRX 에어드랍 (1인 최대 10회 홍보 = 50 TRX 에어드랍) 영웅등급 회원 기본 6 TRX 에어드랍 (1인 최대 10회 홍보 = 60 TRX 에어드랍) [지급일정] 이벤트 종료 후 3일 이내 지급 ※ 유의사항 : 500건 홍보시 조기마감 됩니다. * 빠른 소식을 받아보시려면 코인왕 공식 공지방 : https://t.me/Coin_AirdropKing 코인왕 공식 대화방 : https://t.me/Coin_Airdrop_King
-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최근 대형 거래소들에 연달아 상장하며, 가격이 상승중인 The Graph 프로젝트에 대해 소개하려고 합니다. The Graph는 이더리움으로부터 시작하여 블록체인들로부터 데이터를 인덱싱하고 쿼리하기 위한 탈중앙화 프로토콜입니다. The graph를 통해서 직접 조회하기 어려운 데이터들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응용 프로그램들은 GraphQL을 사용하여 Subgraph라는 개방형 API를 쿼리하고 네트워크에서 인덱싱된 데이터를 검색합니다. The Graph를 통해 개발자는 전적으로 공용 인프라에서 실행되는 서버 없는 애플리케이션을 구축 가능합니다. 인덱싱이란? 인덱스는 일반적으로 저장되는 정보들과 달리, 검색을 빠르게 해주기 위해 별도로 유지하는 정보입니다. 즉, 어떤 정보가 저장된 위치를 가지고 있는 정보입니다. 인덱싱은 이러한 인덱스들을 만들어주는 행위입니다. 쿼리란? 질문을 통해 데이터를 가져오는 행위입니다. 내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불러오기 위해, 특정 질문을 행한 후 해당 정보를 불러오는 것입니다. The Graph의 문서에서는 크립토 키티와 관련해서 간단한 예를 들고 있습니다. - 특정 이더리움 네트워크가 얼마나 많은 크립토 키티들을 소유하고 있을까? - 특정 크립토키티는 언제 태어났을까? - 2018년 1월과 2월에 태어난 크립토 키티를 소유하고 있는 사람들은 누굴까? 위와 같은 비교적으로 간단한 질문에 대한 답들을 얻고자 함에도 불구하고, 브라우저 위에서 실행되는 탈중앙화 어플리케이션(dApp)들은 이러한 답을 찾는데 시간이 매우 많이 소요됩니다. 블록체인 데이터는 이러한 데이터들을 참조할 수 있도록 하는 인덱싱이 어렵고, 최종성, 체인 재구성, 고아블록 등은 이를 더 복잡하게 만듭니다. 이러한 블록체인의 속성들은 블록체인에서 정확한 쿼리 결과를 검색하기 위해 시간을 많이 소요하게 만들고, 개념적으로도 어렵게 만듭니다. The Graph는 블록체인 데이터를 인덱싱해주는 호스팅 서비스를 통해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여, 정보들을 찾기 쉽게 도와줍니다. 즉 특정 정보들에 대한 인덱싱(정보를 빠르게 검색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한 색인 정보를 만들어주는 것)을 통해 정보들을 빨리 불러올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입니다. The Graph의 작동 플로우 1. 탈중앙화 어플리케이션은 스마트컨트렉트 상의 트랜젝션을 통해 이더리움에 데이터를 추가합니다. 2. 스마트컨트렉트는 트랜젝션을 처리하는 동안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이벤트들을 내보냅니다. 3. 그래프 노드는 이더리움 상의 새로운 블록 및 여기에 포함될 수 있는 여러분들의 Subgraph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스캔합니다. 4. 그래프 노드는 이러한 블록에서 여러분들의 Subgraph 이벤트를 찾아서 여러분이 제공한 매핑 핸들러를 제공합니다.매핑은 데이터 이더리움 이벤트들에 대하여 그래프 노드가 저장하는 데이터 엔티티를 생성하거나 업데이트 하는 WASM 모듈입니다. 5.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은 노드의 GraphQL 앤드포인트를 사용하여 블록체인의 인덱스된 데이터에 대해 그래포 노드를 쿼리합니다. 그래프 노드는 GraphQL 쿼리를 기본 데이터 스토어에 대한 쿼리로 변환하여 저장소의 인덱싱 기능을 사용합니다. 6.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은 최종 사용자를 위한 풍부한 UI로 이 데이터를 표시하며, 이들은 이더리움에서 새로운 트랜잭션을 발행하는데 사용됩니다. 7. 위의 과정들이 반복됩니다. 그래프 네트워크의 참여자들 Graph 네트워크에는 총 4가지 참여자들이 있습니다. 이 참여자들은 Indexer, Curator, Delegator, Consumer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Indexer, Curator, Delegator는 네트워크 활동에 대한 보상으로 GRT 토큰을 얻게 되고, Consumer는 Graph Network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GRT 토큰을 지불합니다. Indexer(인덱서) Indexer는 인덱싱과 쿼리 처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Graph Token(GRT)를 네트워크에 스테이킹합니다. 인덱서들은 그들의 서비스에 대한 인덱싱 및 쿼리 수수료를 얻습니다. 높은 수준의 기술이 요구됩니다. 홈페이지의 FAQ에 따르면, 현재 Indexer가 되기 위한 최소 토큰 디파짓 수량은 10만 GRT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Curator(큐레이터) Curator들은 어떤 API들이 Graph Network에 의해 인덱싱 되어야 하는지를 Indexer들에게 신호해주는 Subgraph 개발자들, 데이터 소비자들 혹은 커뮤니티 맴버들입니다. 큐레이터들은 특정 Subgraph에 신호를 하고, 그들이 신호한 Subgraph들에 대한 쿼리 수수료 부분을 얻기 위해 Bonging Curve에 GRT를 예치해야합니다. Curator들은 subgraph에서 큐레이팅을 수행하고, Graph Explorer dApp을 통해 GRT를 디파짓합니다. 이러한 일들은 Bonding Curve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만약 여러분들이 subgraph에 더 일찍 신호를 수록, 디파짓 된 GRT의 지정된 양에 대한 subgraph에 대한 쿼리 수수료가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또한 출금 시에 처음 시작했던 양보다 더 많거나 적을 수도 있음을 의미합니다. 보통 수준의 기술이 요구됩니다. Delegator(위임자) Delegator는 네트워크 보안에 기여는 하고싶지만, 그래프 노드를 직접 실행하지는 않는 개인들입니다. Delegator들은 GRT를 현존하는 Indexer들에게 위임하여, 쿼리 수수료와 인덱싱 보상의 일부를 수령합니다. Delegator는 쿼리 수수료율, 과거 슬래시 패널티 여부, 가동시간 등과 같은 측정치와 인덱서로부터의 cut of fee(보상삭감) 및 보상 등과 관련된 매개 변수에 따라 인덱서를 선택합니다. Delegator는 Graph Explorer dApp을 통해 인덱서에게 GRT를 위임하거나 위임을 해제할 수 있습니다. 요구되는 기술 수준은 매우 낮습니다. Consumer(소비자) Consumer들은 Subgraph 들을 쿼리하고, Delexer, Curator, Delegator들에게 쿼리 수수료를 지불하는 최종 사용자입니다. Consumer들은 개발자들이나 그들이 AWS나 클라우드 서비스 미용을 내는 것 처럼 그들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쿼리 수수료를 부담하는 프로젝트들 자체가 될 수도 있습니다. 소비자들은 '게이트웨이'나 그래프 네트워크의 오픈소스 컨트렉트 위에 구축될 지갑을 통해 쿼리 수수료를 지불하게 됩니다. 중앙화된 서비스와 탈중앙화 서비스의 차이 GRT 토큰 GRT 토큰은 이더리움 위에서 생성된 ERC 20 토큰이며, 네트워크에 리소스들을 할당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활동을 하고 있는 Indexer, Curator 및 Delegator들은 그들의 네트워크 상 활동 내역 및 GRT 스테이킹 비율에 따라 보상을 받게 됩니다. 시장 유통량은 100억개의 토큰, 연 3%의 인플레이션으로 증가하는 인덱싱 리워드 형태 및 독립적인 기술 거버넌스에 의해 발행되는 신규 토큰이 있습니다. 토큰의 소각 프로토콜 쿼리 수수료의 일부는 소각됩니다. 최대 1%로 시작하지만, 향후 기술 거버넌스에 의해 변경될 수 있습니다. Curator 및 Delegator가 디파짓 한 GRT를 다시 철회하는 과정에서도 디파짓 관련 세금이 소각되며, 청구되지 않은 보상들도 소각됩니다. Delegator의 위임 해지 기간 및 수수료 Delegator가 위임을 취소하려고 할 때 마다 28일의 위임 해지 기간이 적용됩니다. 이는 Delegator들이 28일 동안 토큰을 이전할 수 없고, 보상 또한 수령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Delegator들은 Indexer를 현명하게 선택해야합니다. 신뢰할 수 없거나 작업을 제대로 수행하지 않는 Indexer를 선택하면 여러분들은 지분위임의 취소를 원할 것입니다. 이 경우, 보상을 받는 기회를 잃음과 더불어, 단지 여러분의 GRT를 소각하기만 한 결과를 초래하게 될 것입니다. Delegation UI에는 0.5%의 수수료 및 28일의 위임 해지 기간이 명시되어있습니다. query fee cut 및 indexing reward cut Graph Network에서는 Indexer에게 Delegator들이 토큰을 위임하여, 쿼리 수수료 및 인덱싱 수수료의 일부를 나눠 받습니다. query fee cut과 indexing reward cut은 Indexer들이 토큰을 위임해준 Delegator들에게 주는 보상에 대한 설정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러한 값들은 Indexer들이 설정을 하게 됩니다. [1] queryFeeCut - Indexer에게 분배되는 subgraph상 축적된 쿼리 수수료의 %입니다. 만약 이 값이 95%로 설정된 경우, 해당 Indexer는 어떠한 분배가 청구될 때, 해당 쿼리 수수료 리베이트 풀의 95%를 가져가게 되고, 나머지 5%는 Delegator들에게 분배됩니다. [2] indexingRewardCut – 3%의 연간 프로토콜 와이드 인플레이션에 의해 생성된 인덱싱 보상은 네트워크에 Subgraph 배포를 인덱싱하는 Indexer들에게 분배됩니다. Parameters Cooldown Parameters Cooldown은 Indexer들이 위의 query fee cut과 indexing reward cut들을 변경할 수 있는 기간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Indexer들에게 토큰을 위임하고자 하는 Delegator들이 생각해야 할 아주 중요한 사실이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Parameters Cooldown이 0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이는 Indexer들이 얼마든지 위의 설정들을 바꿀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만약, Indexer들이 Delegator들을 끌어들이기 위해 queryFeeCut을 10%로 설정하여, 자신이 10%만 가져가고 Delegator들이 90%를 가져가는 것으로 설정 했다가, Delegator들이 일정 수 이상으로 토큰 위임을 했을 때, 이 수치를 다시 100%으로 바꾸어서 모든 보상을 독차지할 수도 있습니다. 가격차트 더그래프는 대형 거래소들 상장 이후 꾸준히 가격 증가세가 돋보입니다. 아무래도 Indexer, Curator, Delegator가 되기 위해서 디파짓 해야하는 GRT 토큰이 필요하기도 하고, 디앱 프로젝트 등과 같은 소비자들은 데이터들을 인덱싱 하고 쿼리하기 위해 GRT 토큰을 지불해야 하기 때문이 아닌가 싶습니다. 위와 같이 더 그래프는 웬만한 메이저 거래소들에 모두 상장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아무래도 블록체인에서 쉽게 할 수 없었던, 다양한 정보를 빠르게 가져올 수 있도록 색인 역할을 하여, 디앱들이 더욱 다양한 기능들을 구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때문에 그 기술력 및 수요를 인정받은 것 같습니다. 공식채널 홈페이지 : https://thegraph.com/ 텔레그램 : https://t.me/graphprotocol 트위터 : https://twitter.com/graphprotocol 디스코드 : https://discord.com/invite/vtvv7FP 깃허브 : https://github.com/graphprotocol 블로그 : https://thegraph.com/blog/
-
AMM은 어떻게 무기한 계약 마켓을 구축할까요? AMM은 트레이더들의 상대적인 역할을 합니다. 유니스왑에서는 거래자들이 한 자산을 다른 자산으로 교환할 수 있도록 LP(유동성 제공)를 통해 두 자산을 AMM 풀에 예치합니다. 반면, MCDEX에서는 LP를 위해 한가지 자산(담보)만 풀에 예치하면 됩니다. 트레이더가 AMM에 대하여 거래 행위를 할 때, 풀 내의 자산은 반대 포지션을 여는 담보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시장이 중립 상태일 때, 이는 시장에 동일한 양의 롱포지션과 숏포지션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AMM은 포지션을 갖지 않습니다. 시장에 숏 포지션보다 롱 포지션이 많을 때, AMM은 숏 포지션을 차지하게 되며, 그 반대의 경우도 존재합니다. AMM이 포지션을 가지고 있는 한, LP는 가격 변동성에 의한 위험성만을 가지게 됩니다. 가격 커브 ( β1 과 β2은 운영자들에 의해 설정된 위험 매개변수입니다.) V3 AMM의 이점 낮은 자산 효율성은 현재 AMM 유저들에게 있어, 항상 약점으로 여겨져왔습니다. 높은 자본 효율성은 더 나은 유동성 및 LP(유동성 제공)에 있어, 더 나은 이윤을 창출합니다. V3 AMM의 가장 두드러지는 혁신은 유니스왑 보다 1,000배 향상된 자본 효율성을 가져온다는 것입니다. 1. 인덱스 가격 중심으로 더 많은 유동성을 집계합니다. 일정한 제품 AMM들은 높은 슬리피지(가격 급변현상)을 초래합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MCDEX V3 AMM의 설계는 지수 가격을 도입하고 이 지수 가격에 가까운 가격 곡선을 평평하게 하여 더 많은 유동성을 집계합니다. 이 새로운 디자인은 더 낮은 슬리피지로 트레이더의 거래 경험을 더욱 최적화시킬 뿐만 아니라, 그들의 자금이 이 매우 효율적인 지역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유동성 제공자들에게도 이익을 가져다 줍니다. 새로운 디자인을 시각화하려면 아래 이미지를 살펴보시길 바랍니다. 같은 지수 가격 및 전체 유동성($100 및 $200M)에 있어서, 일반적인 AMM 제품들이 단지 약 $10 의 포지션 사이즈를 가지고 있는데 비해, MCDEX V3 AMM은 $10,000 정도로 집중된 포지션을 취하고 있습니다. 2. AMM이 포지션을 취하고 있을 때, 유동성 제공자(LP)들의 위험을 줄입니다. AMM 위험 노출은 AMM 포지션의 크기와 함께 증가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위험 노출을 낮추기 위해, AMM 가격결정 공식은 가격, 슬리피지 및 스프레드를 조정하여 AMM의 포지션 크기를 감소시키는 거래를 장려합니다. 예를 들어, 시장에 숏 포지션이 더 많으면 AMM은 자동으로 롱 포지션을 취합니다. 이 공식은 AMM의 롱 포지션 크기를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여 채워 넣는 가격이 참조(인덱스) 가격보다 낮아지게 하는 가격 할인을 시행합니다. 이렇게 되면 트레이더들은 롱포지션을 취하고 싶어하게 될 것이므로, AMM의 롱 포지션 사이즈가 줄어듭니다. 반대로 AMM이 숏 포지션을 취할 경우, 이 공식은 가격에 프리미엄을 더하여 참조 가격보다 높은 가격을 만들고, 트레이더들이 참조(인덱스)가격보다 높은 가격에서 숏 포지션을 취하도록 유도할 것입니다. 3. 공유 유동성 일반적인 AMM에서는 한가지 유동성 풀은 오직 한 마켓을 서포트할 수 있기 때문에 모든 풀에 특정 수량의 유동성들을 필요로 합니다. 반면, 하나의 MCDEX V3 AMM풀은 여러가지 무기한 계약 마켓들을 서포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은 유동성제공자(LP)들이 그들의 자산들을 여러 마켓들에 분배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자본 효율성을 극대화합니다. 자세히 보기 MCDEX V3 AMM을 서포트하는 자세한 공식들을 참조하기 위해서는 여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저희는 코멘트, 피드백, 그리고 어떠한 종류의 토론등을 환영합니다. 저희에게 부담없이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웹사이트 : https://mcdex.io/ 미디움 : https://mcdex.medium.com/ 레딧 : https://www.reddit.com/r/MCDEX/ 깃허브 : https://github.com/mcdexio 텔레그램 : https://t.me/mcdexkorean 글로벌 텔레그램 : https://t.me/Mcdex
-
#마이크로투버 #microtuber #시드박스 서틱(Certik)은 이번에 ERC-20에 기반 한 마이크로투버 토큰에 대한 감사를 진행했으며, 해당 감사를 통해 마이크로투버 생태계의 암호화폐의 안전성이 입증되었다. 마이크로투버는 세계 최초로 실물 종자를 도입한 농업 관련 암호화폐 프로젝트이다. 현재 마이크로투버는 쉽게 종자를 구매 및 판매하고, 농업과 관련하여 직접 투자를 진행할 수 있는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인 ‘시드박스’를 개발중에 있다. 서틱은 블록체인 보안 인증 및 안정성을 검사하는 보안업체로, 샤오중(Zhong Shao) 예일대 교수와 구룽후이(Ronghui Gu) 콜롬비아대 교수가 이끌고 있다. 서틱은 그동안 바이낸스, 후오비, 오케이엑스 등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는 물론 네오(NEO), 아이콘(ICX) 등 260개 이상의 블록체인 프로젝트 감사를 진행했다. 한편 마이크로투버는 한국 남양주에 실제 농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종자 확장 및 증폭 기술을 통하여 생산량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는 기술을 연구 및 개발 완료하여, 농민들에게 실제 씨감자를 보급중에 있다. 2019년에는 태안에서 3500평 부지에 실제 감자 생산 테스트를 진행하여, 평균적으로 평당 6kg가 생성되었던 감자를 생산량을 평당 14~22kg까지 증폭시키는데 성공하였다. 씨감자 관련 생산 증폭기술을 활용한 마이크로투버사는 실제 재배한 식용 감자를 신세계백화점 및 SSG에 납품하는 쾌거 또한 이뤄낸 바 있다. 기사 출처 https://cmobile.g-enews.com/view.php?ud=2021020908135684594e4869c120_1&md=20210209081614_R
-
안녕하세요, 지난 10일 파트너인 체인링크의 한국 커뮤니티에서 AMA 를 함께 진행하며 쿼크체인에 대해 더많은 분께 알릴 기회를 가졌습니다. 쿼크체인 안녕하세요, 쿼크체인 한국 커뮤니티 총괄을 맡고있는 Jamie 입니다. 쿼크체인은 구글,페이스북 등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업에서 활용하는 기술인 '스테이트샤딩'을 블록체인에 최초로 적용한 퍼블릭 체인으로 2019년 4월 샤딩이 적용된 메인넷을 론칭후 안정적인 운영을 2년 가까이 하고 있으며, 최근 첫번째 업그레이드 버전 빅뱅 메인넷을 발표 했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이후 질문 응답을 통해 답변 드리겠습니다. Q1. 쿼크체인의 샤드 기술을 활용한 사례가 궁금합니다. 우선 쿼크체인의 핵심 기술인 스테이트 샤딩에 대해 간략히 설명 드리면 적용 사례 설명이 더 쉬울 듯 합니다. 샤딩이란 데이터를 잘게 쪼개어 저장하는 것으로 쉽게 이해하시면 되는데 쿼크체인의 스테이트 샤딩 기술이 조금 다른 부분은 '유연성' 입니다. 즉 샤드별로 토큰 이코노미, 합의 알고리즘, 원장 모델, 트랜잭션 모델 등을 모두 다르게 구성을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샤드는 이더리움 처럼, 하나의 샤드는 이오스 처럼 등등 계속 해서 추가해 나갈 수 있습니다. 일반 퍼블릭 체인의 경우 한번 이 요소들을 결정하고 나면 변경이 어렵기 때문에 필요한 내용에 따라 적용을 바꾸기가 용이치 않습니다. 복잡한 업그레이드나 하드 포크 등으로 기존 가치도 많이 희석 될 수 있죠. 쿼크체인은 샤드가 보장하는 확장성, 즉 빠른 속도 덕에 이미 3000 TPS 이상이 구현되고 있고, 오픈소스 활용 대회에서는 1백만 TPS 달성자도 있었습니다. 이에 유연성이 더해져서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확장해 나가는 경우에 활용도가 높습니다. 지난 7월 발표한 정부 사업의 경우도 한 지방 정부의 건축자재 관리 플랫폼을 구축할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찾고 있었고, 이후 다른 지방의 다른 용도로 계속해서 확장을 하면서도 서로의 플랫폼을 연동해서 시너지를 창출하려는 계획이 있었습니다. 이 경우 많은 플랫폼이 입찰에 참여하고 오랜 검토를 거쳐 이 모든 니즈를 담아 낼수 있는 쿼크체인이 선택 되었었습니다. 비슷한 시기에 AWS (아마존웹서비스) 에서의 쿼크체인 BaaS 서비스가 사용된 사례로, 더 용이하게 다른 프로젝트 적용에도 채택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사례들을 확장해 나가려고 합니다 이 외에도 디파이 플랫폼으로써의 적합성 (보안, 속도, 비용 등) 을 활용하여 지속적으로 디파이 상품을 쿼크체인 위에서 소개해 나가려고 합니다. Q2. 코로나 19의 글로벌 장기는 자산의 디지털화를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2021년 쿼크체인 프로젝트에서는 올해 어떤 종류의 비즈니스와 로드맵에 집중 할 예정인지 알고싶습니다. 2021년은 더욱 메인넷의 안정과 디파이에 집중하는 한해가 될 듯 합니다. 우선 아래 설면을 더 드릴 거지만에 빅뱅 메인넷은 멀티네이티브 토큰을 추가 함으로써 디파이 생태계에 더 효율적인 발판을 마련했습니다. 물론 사용이 많아야 의미가 있지만, 입찰 방식을 통해 사용을 하게 되는 프로젝트가 하나 둘 늘어나면 이 기능의 이점과 쿼크체인 메인넷의 장점을 경험하고 또 공유함으로써 더 많은 수요로 연결 될 수 있습니다. 물론 초기는 적극적인 파트너십과 홍보, 네트워크를 통해 공격적으로 사례를 만들어 나갈 예정입니다. 동시에 자체적으로도 다양한 디파이 상품들을 만들고 있습니다. 이미 AMM DEX 인 이퀄라이저를 통해 실제 디파이 상품의 운영, 유저의 피드백, 기술적 보완 등을 거쳐 많은 경험이 쌓였고 이는 더 나은 디파이 상품을 만들 수 있게 합니다. 다양한 킬러 디앱을 스스로 만들어 유저를 모집하고 추후 단계에는 쿼크체인 메인넷 위에서도 활용할 수 있게 하고자 하는 계획도 있습니다. 또한 메인넷의 엔터프라이즈 솔루션, 즉 기업의 활용을 위해서도 많은 사업개발 활동을 해나갈 것입니다. 중국, 미국, 한국 등 시장이 있는 곳의 기회를 포착하고 잡기 위해 팀도 꾸준히 모니터링과 리서치를 하고 있으며, 트렌드와 수요에 맞는 여러 솔루션 시나리오를 지속적으로 고민하고 다양화 하고 있으며 실제로 여러 건이 논의/진행 중에 있습니다. Q3. 쿼크체인이 12월 17일 메인넷 '빅뱅'을 출시하여 '멀티 네이티브 토큰' 기능을 통해 타 프로젝트와 다른 장점은 무엇인가요? 빅뱅은 무슨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요? 쿼크체인의 첫번째 메인넷 Singularity 는 곧 2주년을 맞습니다. 그만큼 뒤늦게 샤딩을 차세대 솔루션을 위한 핵심기술로 보고 진입한 많은 프로젝트 들에 비해 일찌기 구축을 하고 2년 가까이 안정적으로 운영 중입니다. 최근에는 첫번째 업그레이드 버전인 '빅뱅' 메인넷을 발표 했었습니다. 가장 큰 차이는 바로 '멀티네이티브 토큰'기능 입니다. 멀티 네이티브 토큰을 간단히 설명 드리겠습니다. 우선 토큰은 스마트계약 토큰과 네이티브 토큰이 있습니다. 예를들어 이더리움에서 ETH 는 네이티브 토큰, ERC20 토큰은 스마트 계약 토큰입니다. 모두들 사용해보셔서 알겠지만 이더 기반의 서비스들을 사용하려면 서비스 자체의 ERC20 토큰외에도 수수료를 위한 ETH 가 또 필요합니다. ERC20토큰은 자산증명으로써 밖에 역할을 할 수 없으며, 수수료 결제나 스마트컨트랙트 배포 등 많은 기능을 하지 못합니다. ETH 만이 이 모든 기능을 할 수 있습니다. 기존 쿼크체인도 비슷한 구조 였습니다. QKC 이 네이티브 토큰으로써 모든 수수료 결제등을 위해 별도로 필요했었습니다. 하지만 멀티네이티브 토큰 기능으로 인해 말그대로 쿼크체인 네트워크 상에 여러개의 네이티브 토큰이 존재할 수 있게 됩니다. 정기적인 입찰을 통해 QKC 수량으로 입찰을 진행하고 최대 QKC 를 입찰한 사람이 해당 라운드의 멀티네이티브 토큰 발행권을 획득 합니다. 원하는 수량, 원하는 조건으로 자신만의 네이티브 토큰을 발행할 수 있으며, 자신의 서비스에서 유저들은 QKC가 아닌 각자 해당 코인으로도 수수료를 결제할 수 있게 됩니다. 기타 네이티브 토큰의 기능도 모두 누리게 됩니다. 더이상 각각의 프로젝트가 토큰기능에 한계를 느껴 자신만의 메인넷을 각각 개발하는 불편 또는 비효율성을 겪지 않아도 되게 되죠. 이 모든 편의를 누리기 위해서는 네이티브 토큰 발행자는 일정량의 QKC 를 예치 해야 합니다. 그리고 본인의 토큰과 스왑 비율을 정하여 자신의 네이티브 토큰으로 수수료를 유저가 결제 시에 보유 QKC 에서 사전에 정한 비율에 따라 자동 전환, 지급 되게 됩니다. 유저는 한가지의 토큰으로 모든 서비스를 누릴 수 있기 때문에 매우 편리 합니다. 이는 디파이를 복잡해 하던 큰 장벽 하나를 무너뜨리는 기능이 될것이며 디파이 상품을 개발하는 쪽에서도 더욱 손쉽게 개발하고 운영할 수 있게 됩니다. 이러한 네이티브 토큰의 장점을 활용하여 더 많은 디파이 상품을 포함한 디앱들을 유인할 예정입니다. Q4. 쿼크체인과 체인링크가 어떤 시너지를 낼수있을까요? 타 프로젝트와의 어떤 차별성이 있는지 알고싶어요 체인링크는 외부 데이터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가져오는 오라클 서비스 입니다. 쿼크체인은 메인넷 플랫폼으로써 다양한 상품들을 앞으로 얹어 나가게 되는데요, 특히나 보안성과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활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해 집니다. 쿼크체인 네트워크에 올라가게 되는 많은 서비스 들도 결국은 외부에서 데이터를 가져올텐데요 예를 들어 디파이 상품은 다양한 자산의 가격 정보를 실시간으로, 안전하고 또 신뢰할 수 있는 값으로 가져오는 것이 중요합니다. 체인링크는 이 부분에 가장 신뢰있는 오라클 서비스로 함께 협업을 하기로 했고, 쿼크체인의 서비스들은 데이터를 불러올때 체인링크를 활용하게 됩니다. 실제로 구글, 스위프트, 클레이튼, 폴카닷 등도 체인링크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쿼크체인의 차별성은 가장 크게 1) 유연성, 2) 멀티네이티브 토큰, 3) 확장성 4) 보안성과 POSW으로 요약 가능합니다. 유연성은 앞서 말씀드린 샤드별로 다른 구성을 할 수 있는 유연성 부분이며, 두번째가 좀 전에 설명 드린 멀티네이티브 토큰을 통한 사용자의 접근성 향상 및 프로젝트의 효율적인 서비스 구축, 세번째는 샤드를 활용한 빠른 속도 입니다. 네번째는 쿼크체인만의 POSW 합의 입니다. 보손 컨센서스로도 알려져 스탠포드 등 많은 곳에서 강의를 했습니다만 기본은 POW 로 이미 검증된 합의 알고리즘에 스테이킹을 결합하여 더 높은 QKC 를 예치 하면 더 높은 채산성을 보장하는 구조 입니다. POS 와 POW 의 장점을 결합하여 보안성과 효율을 더 높였습니다. https://blog.naver.com/quarkchain/221623303853 에서 더 자세한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일반 홀더분들과 채굴커뮤니티를 결합한다는 점에서 주목도 많이 받는데요, qkc 홀더는 자신의 토큰을 스테이킹 하고 채굴자는 이 토큰의 지가을 활용하여 채산성을 높이고 홀더는 수익을 나눠가질 수있습니다 올해 채굴자와 홀더가 자동으로 매치 되는 스테이킹 2.0 상품도 출시 예정입니다. 체인링크 안녕하세요? 체인링크 Korea Regional manager Chloe이라고 합니다. 쿼크체인 및 체인링크 커뮤니티 여러분들과 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어서 영광입니다 :) 현재 저는 체인링크가 다양한 유스케이스를 만들어내는데 주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지금과 같은 활동들을 통해서 만들어낸 유스케이스들을 커뮤니티 여러분들이 이해를 잘 하도록 도와드리고, 피드백을 통해 더 나은 유스케이스 및 개발단을 만들고자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먼저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시겠지만, 처음 접하시는 분들도 계시니 체인링크에 관해서 간략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에서는 스마트 컨트렉트를 이용하여 여러가지 서비스를 만들 수 있는데 해당 서비스가 돌아가기 위해서는 오프체인에서 존재하는 데이터를 입력해주어야 합니다. 이때 체인링크는 오프체인 데이터를 온체인으로 연결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즉, 체인링크는 분산형 오라클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실행하기 위한 오픈 소스 미들웨어로,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인풋 및 아웃풋에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체인링크는 실제로 라이브로 돌아가고 있는 유일한 오라클 솔루션 프로젝트이며, Synthetix, Aave, Kyber Network와 같은 주요 디파이 애플리케이션, Ethereum, Polkadot, Tezos와 같은 다수의 블록체인 및 Google, Oracle, SWIFT와 같은 대기업에도 오라클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체인링크에서는 여러가지 종류의 오라클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 중 가장 대표적으로 많이 쓰이는 것이 Price feeds 오라클 입니다. 한 시장에만 의존해서 가격을 제공받는 디파이 업체들은 flashlaon과 같은 공격에 취약합니다. 이는 한 시장의 가격데이터가 시장 조작으로 인해 조작이 된다면 이 가격데이터를 이용하는 디파이업체들은 피해를 고스란히 받을 수 밖에 없는 환경에 노출이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때 체인링크가 여러가지 시장의 데이터를 종합하여 제공하여 해당 문제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체인링크가 어떤 프라이스 피드를 제공하고 있는지는 http://chain.link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가격데이터 뿐만 아니라 날씨데이터, 비행데이터, NFT를 생성할 수 있는 여러 메타 데이터, 온체인 상에서 무작위 증명값(VRF)들 등에 대한 오라클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많은 NFT 프로젝트들 그리고 무작위값을 생성하는 업체들은 체인링크의 오라클 솔루션 및 VRF를 통해 신뢰성있고 의존할 수 있는 값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자료는 체인링크 블로그 포스트를 참조해주세요! http://blog.chain.link/tag/korean) 체인링크 VRF에 관하여 더 설명을 드리자면, 온체인상에서 모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믿을 만한 랜덤값을 생성하여 무작위로 승자를 뽑고 상금을 추출하거나 랜덤으로 추출된 사람들에게 콘서트 티켓을 주는 등 실제로 여러 방면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체인링크 VRF에 관해 더 많은 정보를 얻고 싶으시다면 해당 링크를 참조해주세요! - https://blog.chain.link/verifiable-random-functions-vrf-random-number-generation-rng-feature-korean/ 2. https://blog.chain.link/chainlink-vrf-now-live-on-ethereum-mainnet-korean/ Q1. 많은 DeFi 프로젝트들이 체인링크의 오라클 솔루션을 선택하는데는 그만큼의 정확성과 신뢰등의 검증을 받았기 때문일텐데요. 요즘 은행들도 DeFi를 활용한 수탁사업에 대한 관심도도 많아진것 같은데 그에따른 변화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우선 커스터디, CBDC 관련해서 국내에서 관심이 높아진 것은 사실입니다. 따라서 체인링크의 오라클 솔루션도 그에 발맞춰나가기 위해 Proof of reserve라는 오라클 솔루션을 런칭했습니다. proof of reserve란 간단하게 설명드리자면 오프체인 상에서 존재하는 Fiat과 온체인 상에서 발행된 토큰이 비율에 맞게 발행되고 관리되는지에 대해서 실시간으로 계좌 밸런스를 체킹해주는 서비스입니다. Proof of Reserve에 대해서 자세히 알고 싶으시다면 https://blog.chain.link/chainlink-proof-of-reserve-bringing-transparency-to-defi-collateral-korean/ 블로그를 참조해주세요 최근 WBTC의 사례를 예로 들며 설명드리겠습니다. BTC를 수탁 계좌에 페깅하여 페깅한 BTC만큼 WBTC를 발행하여 이를 통해 유동성을 확보하고 다양한 파생상품에 이용하는데, 이때 수탁된 BTC와 발행된 WBTC가 비율에 맞게 제대로 관리가 되고 있는지 체인링크의 오라클 솔루션을 통해서 실시간을 체크할 수 있습니다. BTC뿐만 아니라, KRW나 USD를 페깅하고 이에 상응하는 토큰을 발행할때도 페킹된 원화, 달러와 발행된 토큰이 제대로 된 비율로 제대로 발행이 되었는지 체인링크를 통해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www.coindesk.com/trusttoken-taps-chainlink-for-on-chain-proof-of-reserves-for-trueusd-stablecoin 이는 체인링크가 만들어넨 proof of reserve 유스케이스 입니다. 영문으로 되어있지만, ,, 읽다가 질문있으시면 언제든 여쭤주세요! Q2. 외부의 시세 조작 공격 등으로 일부 디파이 서비스가 적지 않은 피해를 입고 있는데요. 그렇다면 체인링크의 오라클 솔루션은 이러한 문제로부터 자유로운지 궁금합니다. 좋은 질문 주셔서 감사합니다! @korea_samlee님 :) 우선 체인링크를 디파이 프로젝트로 착각하고 계실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잠시 첨언드리겠습니다. 체인링크는 디파이 프로젝트에게 오프체인 데이터를 신뢰성있게 제공하는 오라클 솔루션입니다. 따라서 체인링크의 오라클 솔루션은 디파이가 갖고 있는 보안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오라클 프로젝트 입니다. 최근들어 많은 디파이 프로젝트들이 성공적으로 론칭하고 있고 디파이 프로젝트에서 만드는 파생상품들은 특정토큰들의 가격데이터, 금, 오일 등 다양한 오프체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공격자는 플래시론을 통해 하나의 거래소를 유일한 가격 데이터피드로 사용하는 Defi 프로젝트의 시세를 조작할 수 있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담보로 사용된 토큰의 가격을 더 높게, 차용 받는 토큰의 가격을 더 낮게 조작하여 원래 받을 수 있는 금액보다 더 많은 금액을 대출받을 수 있게 만들 수도 있고, 대출보다 담보의 가치가 하락해 유동성 풀을 완전히 유동화시킬 수 없는 안 좋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케이스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체인링크는 오프체인 데이터를 통해 다양한 상품들을 만들어 내는 디파이 업체들이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에 의존할 수 있도록,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소스들에서 최대한 많은 데이터를 가지고 오고 그 데이터를 종합해서 제공하고 있습니다. 전문 데이터 집계업체로부터 가격 데이터를 집계하는 분산형 오라클 네트워크를 통해 운영합니다.따라서 디파이 업체들의 보안성을 유지하도록 도와주게 됩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블로그 포스트를 참고해주세요! https://blog.chain.link/flash-loans-and-the-importance-of-tamper-proof-oracles-korean/ Q3. 체인링크 오라클 솔루션의 장점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질문주셔서 감사합니다. @amy01298님! 체인링크 오라클 솔루션은 어느 체인 어느 디앱 어느 서비스이든 연결이 가능하다는 가장 큰 장점을 갖고 있습니다. 실제로 이더리움 뿐만 아니라 클레이튼, 폴카닷, 테조스, 코스모스, 캐스퍼랩스, 등 여러 체인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또한 체인 뿐 아니라 구글과 같은 기업들에서도 이용을 하고 있습니다. https://chainlinkecosystem.com/ecosystem/google/ 이는 여기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더군다나, 체인링크는 블록을 생성하는 블록체인이 아닌 블록체인에서 이용할 수 있는 미들웨어이므로 어느 프로젝트든 가능하며, 이와 같은 점이 체인링크의 사용성을 제약없이 늘릴 수 있는 장점을 갖게 해준다고 생각합니다. 인터체인 기술 없이는 서로 다른 체인끼리는 호환되기 굉장히 어렵지만 체인링크는 어느 곳이든 연결되어 상호호환가능하다는 가장 큰 장점을 갖고 있습니다. 다음으로 가장 큰 장점은 라이브로 운영되는 실제 프로덕트라는 점입니다. 현재 오라클 솔루션을 제공하는 프로젝트 중 라이브로, 프로덕트 형태로써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는 곳은 체인링크가 유일무이합니다. 따라서 실 프로덕트가 돌아가고 있고, 이 프로덕트가 문제없이 라이브로 잘 운영되고 있다는 점이 의의가 큰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이제 마지막 질문으로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Q4. 체인링크는 외부 데이터인 오라클의 신뢰성을 어떻게 증명하나요? 우선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서 오라클문제에 대해서 먼저 설명드리겠습니다. 블록체인에서는 체인 내에서 데이터 값을 직접 생성하는 것이 아닌 한, 오라클 문제에 직면할 수 밖에 없습니다. 오라클이란 블록체인 밖에 있는 데이터를 블록체인 안으로 가져오는 것을 뜻하며, 스마트 컨트랙트나 블록체인 기능 그 자체로는 오프체인의 데이터를 온체인으로 자동으로 가져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없으므로 체인링크와 같은 미들웨어가 그 기능을 대신해야 합니다. 따라서 체인링크는 원하는 사용 사례에 맞는 커스텀 오라클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조합을 통해 여러 차원에서 보장할 수 있는 분산형 오라클 네트워크를 개발했습니다. 다음과 같은 방법들로 체인링크는 커스텀된 오라클 솔루션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체인링크 오라클은 1. 오픈소스 기술을 사용해 다수의 블록체인 커뮤니티가 각자 체인링크 소스 코드 및 함수에 대한 안전 및 신뢰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개선을 위해 기여할 수 있도록 하며, 2. 스마트 컨트랙트가 비밀번호/크리덴셜 보호 보안을 갖춘 외부 시스템 및 API로부터 데이터를 받을 수 있도록 노드가 API 키 보관 및 계정 로그인 관리하도록 되어있습니다. 이러한 노드들은 노드 및 데이터 소스 차원에서 3. 탈중앙화를 실현해 하나의 노드 또는 데이터 소스가 단일장애지점이 되는 것을 방지해 유저들에게 데이터가 제시간에 전달될 것이라는 강력한 보장을 제공하고 조작을 방지하며. 노드가 스마트 컨트랙트에 데이터를 제공할 때 4. 서명을 하도록 해 유저들이 어떤 노드가 어떤 데이터를 제공했는지 내역을 확인해 퍼포먼스 품질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데이터의 출처와 책임을 분명히 합니다. 보안성을 위해 다음과 같은 환경요소들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요청하는 스마트 컨트랙트와 오라클 제공자 간 5. 법적 효력이 있는 온체인 계약을 체결하여, 제공하는 오프체인 데이터 요청에 대한 품질을 유저들에게 보장할 수 있도록 오라클 서비스의 조건, 페널티 및 보상 명시하고 서명된 온체인 데이터를 6. 평판 시스템에 입력해 유저들이 작업 성공률, 작업한 클라이언트, 평균 응답 시간 등과 같은 메트릭 정보를 바탕으로 노드에 대한 평가를 할 수 있도록 합니다. 7. KYC, 노드의 위치 정보, 인프라의 보안 리뷰 등과 같은 주요 요소에 대한 보장을 할 수 있는 인증서를 발급해 노드가 인증서를 더 많이 취득할수록 유저들에게 더 높은 보안 및 신뢰도를 인정받을 수 있도록 합니다. 8. 영지식증명과 같은 더 고급 암호 기법 및 TEE와 같은 하드웨어를 위한 유연성을 제공해 오라클이 스마트 컨트랙트에 제공하는 데이터의 출처를 증명 (예: 데이터a의 출처는 서버b), 오라클 자체에서 데이터를 기밀 사항으로 처리, 오프체인 계산 등과 같은 추가 기능을 실현할 수 있게 하고 있습니다. 더 자세한 정보는 https://blog.chain.link/what-is-the-blockchain-oracle-problem-korean/ 를 통해서 확인해주세요!
-
▣ 설 연휴 마지막 날을 기념(?) 하는 게릴라 AMA가 콘플럭스 한국 공식 텔레그램 채널에서 열렸습니다. ▣ 연휴 기간이고 게릴라 AMA라 엄청난 질문 폭탄은 없었지만 오랜만에 궁금한 내용을 확인하는 시간이었던 같습니다. Q1. 1. 최근 REACH가 그랜트 프로그램으로 선정이 되었는데, 콘플럭스 그랜트 프로그램의 선정 조건은 무엇인가요? 2. REACH와 CONFLUX와의 파트너십을 통하여 콘플럭스가 기대하는 시너지는 무엇인가요? A1. 우선 Conflux의 그랜트 선정 기준은 1차시에는 보통 인프라 확장을 위한 프로젝트들이 선정되었습니다. 예를 들면, 개발을 쉽게 해주는 도구들이라든지, 도메인 네이밍 서비스 등의 프로젝트들이었죠. 콘플럭스는 그랜트 프로그램을 진행함에 있어서 다양한 프로젝트들을 선정하고 있습니다. 이제 곧 2차 그랜트 프로젝트들의 모집 및 발표가 있을 예정인데요. NFT, 디파이, 파생상품 등 다양한 프로덕트들을 통해 Conflux 상에 자산 규모가 늘어날 수 있는 프로젝트들도 열심히 찾고 있습니다. 리치(REACH) 같은 경우에는, 일반 개발자들이나 일반 서비스들이 블록체인을 적용시키기 용이하도록 돕기 때문에, 리치와 협력해서 기존 서비스들에 블록체인을 쉽게 접목시킬 수 있는 환경을 구현할 예정입니다. Q2. 최근 nft와 관련된 프로젝트들이 많이 알려지고 있는데 콘플럭스의 nft 관련 상황에 대해 알 수 있을까요? A2. 콘플럭스는 여러 프로덕트 및 서비스들이 운용될 수 있는 비허가형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입니다. 따라서 NFT나 디파이, 탈 중앙화 거래소 등의 제품들이 운용될 수 있는 환경이 됩니다. NFT 관련해서는 콘드래곤을 통한 게임 캐릭터 접목, 트러스트 도메인을 통한 네이밍 서비스 구현 등이 실제로 개발되었습니다. 이러한 제품들은 콘플럭스를 기반으로 다양한 파트너나 그랜트 수여 기업들이 개발한 내용들입니다. 어제 NFT 관련해서 콘드레곤의 퀄리티 측면의 지적이 좀 있긴 했었는데요, 저도 언어적인 측면이나 퀄리티 면에서 아직 높진 않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그러한 기술들이 실제 구현될 수 있는 환경이라는 것이 앞으로 다양한 서비스들이 콘플럭스 위에서 구현될 수 있다는 점에 더 큰 의미를 두고 싶습니다. 네이밍 서비스 같은 경우에는 기존에 존재하던 naver.com 등의 도메인 네임처럼 아이피 주소를 이름으로 변환한 것이 아니고, 특정 해시 주소를 이름으로 변환한 서비스가 실제 구현되었습니다. 일례로, 저 같은 경우에는 몇몇 주소들을 구입했는데요. baidu.cfx, confluxnetwork.cfx, daniel.cfx, korea.cfx 등을 구입해두었습니다. 원하는 경우에, 자신의 암호화폐 지갑과 연동하여 친구들이 토큰을 보낼 때, 그냥 daniel만 써도 토큰을 받을 수 있습니다. Q3. 튜링 상 수상자이신 앤드류님의 어떻게 공헌하시는지도 궁금해요 A3. 현재 앤드류 야오님 같은 경우에는 트리 그래프 연구소에 기술 분야를 담당하고 계십니다. 해당 연구소의 경우, 상해 정부로부터 투자를 받아 설립하게 되었습니다. 이곳에서 콘플럭스의 합의 알고리즘인 트리 그래프 기술을 연구하고 실제 서비스 등에 상용화 시킬 예정에 있습니다. 아무래도 중국 정부가 암호화폐를 기본적으로는 금지하고 있기 때문에 기술적 측면에서 접근 및 발전 중이지만 퍼블릭 블록체인 스타트업에 실제 정부의 자금이 들어와서 연구를 진행한다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생각됩니다. 그리고 스테이킹의 경우에는 현재 진행 중에 있습니다. https://governance.confluxnetwork.org/en/ 이곳에 들어가시면 스테이킹이 가능하십니다. Q.4 레이저(RAZOR)와 파트너십의. 내용이 구체적으로 뭔지 궁금합니다 A4. 레이저(RAZOR)와의 파트너십 경우에는 분산형 오라클을 통한 데이터 소스 측면의 파트너십입니다. 이러한 오라클 관련 기술 확장을 위해 체인링크와도 파트너십을 진행한 바 있습니다. 블록체인의 경우, 보통 내부의 정보만을 불러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거래 내역이나 메시지 등의 정보들이 블록체인 내에 기록이 되는데요. 이렇게 내부에 기록된 내용들만을 참조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오라클'이라는 개념이 도입됩니다. 오라클은 주로 '하드웨어 오라클'과 '소프트웨어 오라클'로 나뉩니다. 하드웨어 오라클 같은 경우에는, 특정 센서 등에 의해 표시되는 온도나 기압 등과 관련된 것들이고 소프트웨어 오라클은 자산 가격이나 지수 등이 될 수 있습니다. 블록체인은 기존의 서버가 담당하던 데이터 저장 부분을 탈 중앙화 시켜서 여러 컴퓨터에 나누어 저장하는 분산장부 역할을 한다고 보시면 되는데요. 블록체인 자체만으로는 여러 서비스들이 원활하게 구현되기가 힘들고 외부 데이터를 불러오는 오라클이라든지, 아니면 최근 나왔던 더그래프라는 프로젝트처럼 블록체인에 존재하는 다양한 정보들을 빨리빨리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인덱싱 관련 프로젝트들의 역할 또한 필요합니다. 이러한 여러 가지 프로젝트 및 기술들이 융합되어 블록체인에 존재하는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더 나은 사용자 환경 및 서비스들을 구현할 수 있게 됩니다. 콘플럭스는 앞으로도 더 나은 서비스들을 구현하고, 탈 중앙화된 커머스를 구축해나갈 수 있도록 다양한 파트너십 및 기반 네트워크가 되기 위해 노력할 예정입니다. Q5. 콘플럭스와 유사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곳이 있나요? 콘플럭스만의 차별화된 강력한 장점이 궁금해요 A5. 콘플럭스는 이더리움이나 비트코인과 마찬가지로 탈 중앙화된 네트워크를 만드는 비허가형 퍼블릭 블록체인입니다. 따라서 유사한 프로젝트들이라고 하면, 비트코인, 이더리움, 이오스, 헤데라 해시그래프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콘플럭스의 큰 특징은 Tree-graph를 활용해서 고아 블록(생성은 되었으나, 거래내역에 안 담기는 블록)을 최소화시켜, 자원 낭비를 최소화하고, 높은 초당 거래 속도(TPS)를 구현합니다. 나아가, 다양한 프로젝트들과의 파트너십, 전통 펀드들로부터의 투자유치 등을 진행하여, 기술적으로나 인프라적으로 탄탄한 기반을 갖추고 있습니다.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NFT, 디파이, DEX 등의 기술들이 현재 구현되고 있으며, 앞으로 더욱 다양한 제품들이 콘플럭스 위에서 출시될 예정입니다. 콘플럭스의 특징은 바이두 벤처, 세쿼이아 차이나, 후오비, F2Pool 등 다양한 업계 내외부 기업들 및 펀드들로부터 투자를 유치하였고 상해 정부로부터 자금을 지원받아, 블록체인 인큐베이팅 센터 및 트리그래프 연구소를 운영 중에 있습니다. 디파이 관련해서는 세쿼이아 캐피털과 함께 오픈 디파이 얼라이언스를 구축하기도 했죠. 이러한 것들이 가능했던 이유는 아마 팀원분들의 역량 때문이라고 보는데요, 정말 다양한 컴퓨터 분야의 상들을 휩쓰시고, 월가 출신, 다양한 대기업 출신의 팀원분들이 계시고 아시아 유일한 튜링 상 수상자이신 앤드류 야오님의 뒷받침 또한 이러한 팀 및 배경을 구축하는데 큰 힘을 발휘하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앞으로 더 좋은 소식들이 많이 들려올 예정이니 기대해 주시기 바랍니다. 조금 더 자세한 정보가 궁금하신 분은 아래 홈페이지 및 소셜 커뮤니티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Conflux 공식 홈페이지 https://confluxnetwork.org/ ▣ Conflux 커뮤니티 카카오톡 공식 오픈 채널 : https://open.kakao.com/o/gmyEjl2b 한글 텔레그램 : https://t.me/ConfluxKorea 영어 텔레그램 : https://t.me/Conflux_English 트위터 : https://twitter.com/ConfluxChain 콘플럭스 스캔 : https://www.confluxscan.io/ 콘플럭스 Defi : https://defi.confluxnetwork.org/en/ 깃허브 : https://github.com/conflux-chain 미디움 : https://medium.com/@Confluxnetwork 네이버 공식 블로그 https://blog.naver.com/conflux-chain 바운티 사이트 : https://bounty.conflux-chain.org/
-
채굴자님들, 우리가 콘플럭스의 전구가 되야합니다!!!원문 [체인노드 영상 AMA 제 1회 ]
-
이클도 응원합니다! 다음은 이클이란 소문이?ㅎ원문 [체인노드 영상 AMA 제 1회 ]
-
다른 사람들에게 알리기 싫은 대박 이벤트.!!!원문 [체인노드 영상 AMA 제 1회 ]
-
콘피 넌 이미 내꺼야원문 [체인노드 영상 AMA 제 1회 ]
-
콘프룰루! 화이팅원문 [체인노드 영상 AMA 제 1회 ]